마음편한유외과는 근본적인 원인을 찾기 위해 노력합니다

자율신경기능의학

[ 섬유근육통 ] 신경회로의 문제가 일으키는 근육수축이 만들어내는 압통점

마음편한유외과 2021. 6. 9. 13:26

섬유근육통진단의 핵심

섬유근육통을 진단하는데 있어서 핵심은 근골격계의 통증과 압통점의 존재 유뮤입니다.
압통점(trigger point)은 특정 지점짐 방아쇠가 되어 자극되면

일련의 반응들이 폭발적으로 발생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4가지 종류의 압통점이 있습니다.
1. 활성형 압통정 ( active TP )

팽팽해진 근육내에 결절과 같은 작은 덩어리가 있으며, 자극이 되면 점프사인을 보입니다.


2. 잠복형 압통점 ( latent TP )

눌러도 통증을 유발하지 않습니다.

현재는 증상을 일으키지 않은 휴면상태지만 특정 환경이 되면 바로 활성형으로 바뀌게 됩니다.


3. 다른 근육에 스트레스를를 주면 활성화 되는 압통점 ( secondary TP )

목을 자극했는데 두통이 발생하는 것과 같습니다.


4. 압통점 근처에서 함께 활성화되는 통증을 유발하는 지점 ( satellite myofascial point )



척추 밸런스의 불안정성이 유발하는 압통점

섬유근육통을 진단할 때 압통점을 확인하는 부위입니다.
전신에 흩어져 보이는 섬유근육통 압통점 이지만

의미를 가지고 살펴보면 척추를 안정화 시키기 위한

항중력근들의 변곡점, 항중력근을 보조하고 있는 어깨, 골반 거들을 지지하는 근육들의 위치입니다.
이 위치들을 봤을 때 섬유근육통의 압통점을 발생시키는 핵심은

중력스트레스를 대항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척추 밸런스의 불안정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 뒤통수 후두하근이 붙는 자리
2. 어깨 승모근 양쪽 가운데 부분
3. 날개뼈 위쪽 안쪽 모서리 부분
4. 엉덩이를 4등분 했을 때 위쪽 바깥쪽 사분면
5. 고관절 뒤쪽의 튀어나온 부위
6. 경추 앞쪽에서 승모근으로 넘어가는 양쪽 부위
7. 두번째 갈비뼈와 연골 접합부위 양쪽
8. 양쪽 팔꿈치에서 손쪽으로 2츠 아래부위
9. 양쪽 무릎 안쪾 지방패드 부위


2016년 미국 류마티스학회에서 새로 제시한 섬유근육통 진단기준에서

이야기 하는 통증의 위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턱
2. 목
3. 어깨
4. 가슴
5. 배
6. 등
7. 상박
8. 하박
9. 엉덩이
10. 고관절
11. 허벅지
12. 종아리
로 나누어 통증이 발생한 위치의 개수를 체크합니다.

섬유근육통 압통점이 발생하게 되는 원리

현재까지는 근육에 발생된 외상 및 반복적으로 발생된 미세한 손상에 의해

근육섬유에 조직적인 변화로 압통점을 형성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전신의 근육이 해당되며 특히 목, 등, 허리, 골반과 같은

항중력 근육들과 안정성을 거들고 있는 어깨와 골반거들이 압통점이 발생하는 핵심지점입니다.
근육내의 조직학적인 변화로 통증만 유발하는 것이 아니라,

자율신경기능과 관련된 내장기관의 기능문제와 정서적인 문제까지 동반한다는 점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근육내 조직학적인 변화는 자율신경계 이상으로 생긴다.

자율신경계 이상과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특정근육으로의 혈액순환장애가 압통점을 유발합니다.
문제를 일으키는 근육들은 대부분 중력에 의해 무너지지 않도록 안정성확보를 위해 끊임없이 수축하고 있습니다.
정상적인 근육의 생리과정에서 근육이 수축하면 일시적으로 모세혈관과 미세혈류가 차단됩니다.
막힌 혈류는 근육이 이완되면서 즉시 회복됩니다.
만약 지속적으로 근육이 수축된다면 미세혈류장애가 발생하고

근육수축을 위한 에너지 생성에 필요한 산소와 포도당이 차단됩니다.
세포들은 생존하기 위해 에너지를 생성해야 하는데 산소가 부족한 혐기성 환경이 되면

ATP 생성효율성이 매우 저하되고, 대사의 결과로 생성되는 젖산은 근육내 산도를 변화시킵니다.
미국국립보건원자료에 따르면 압통점의 세포 환경은 산도가 5보다 훨씬 낮을 수 있으며,

이는 산도를 감지하는 이온채널을 포함한 통각수용체를 자극 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결국 다음과 같은 경로를 통해 섬유근육통의 압통점이 발생하는 것 입니다.
특정원인→지속적인 근육수축→미세혈류장애→ATP감소→젖산축적→지속적인 통각수용체 자극

미세 혈류장애로 에너지가 부족하면 근육이 이완되지 않습니다.
근육세포들이 이완되려면 액틴과 마이오신이 분리되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칼슘이 필요한데 칼슘은 칼슘펌프에 의해 이동하기 때문에

ATP가 고갈된 상황에서는 근육 수축 상태가 해결되기 어렵습니다.
고농도의 세포내 칼슘은 지속적인 근수축을 일으키고 일련의 과정에 의해 근육세포 손상을 일으킵니다.
이런 미세한 손상이 축적되면 전신에 걸쳐 섬유근육통의 압통점이 생성됩니다.

또 노폐물 배출장애가 동반됩니다.
특정 원인에 의해 수축되어 짧아지고 두꺼워진 근육은

그 자체로 다시 모세혈관이나 정맥, 림프를 압박하면서 혈액배출장애를 발생시킵니다.
그로인해 근육수축 과정에서 발생된 여러 대사산물이 빠져나가지 못하고 정체됩니다.

공급과 배출장애, 세포에너지고갈의 환경 속의 세포는

유해신호를 발생시켜 위기상황임을 중추신경으로 보고합니다.
자율신경 중 교감신경은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전신에 명령을 내리고,

코티솔, 아드레날린을 부신으로부터 분비시킵니다.
교감신경 또한 직접적으로 혈관을 수축시켜, 심작방동을 올리고

호흡을 증가시키는 등 전신의 내장기관을 위기 상황에서 구하기 위해 변화시킵니다.
- 아드레날린 수용체의 상향조절
- 말초신경의 민감화
- 중추신경의 민감화


이로인해 매주 작은 자극에도 유해신호가 발생하면서 일련의 회로들이 진행되고 악순환 고리각 생성됩니다.

특정원인-> 지속적인 근육수축 -> 미세혈류장애 -> ATP감소, 젖산축적-> 지속적인 통각수용체 자극 -> 교감신경항진-> 스트레스 호르몬분비->-> 피드백루프형성 -> 점점 고착화되며 강화되는 악순환의 회로 -> 섬유근육통 발병 및 악화

결국 지속적인 근육수축을 일으키는 특정원인은 신경회로의 문제입니다.
잘못된 생활습관의 합이 물리적,화학적인 문제를 만들어내고

이로인한 신경회로의 문제가 일련의 반응을 일으키면서 섬유근육통을 만들고 악화, 재발시키는 것 입니다.

(과거의 경험+잘못된 생활습관의 합)-> (물리적+화학적인문제) -> 신경회로의문제 -> 중추신경, 말초신경 민감화 -> 교감신경항진, 스트레스호르몬 과다 ->->-> 악순환 회로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