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편한유외과는 근본적인 원인을 찾기 위해 노력합니다

자율신경기능의학

메이그증후군 신경전달의 문제로 일어난다.

마음편한유외과 2021. 6. 25. 11:13



메이그증후군은 주로 뇌신경의 지배를 받는 얼굴 주위의 근육에 비정상적인 근긴장이상이 발생하는 것 입니다.
1910년에 프랑스 신경과 의사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습니다.
여성에서 자주 발생하며, 50세 이후에 많이 발생합니다.
대부분 눈 주변 근육과, 얼굴 아래쪽, 입주위 근육에서 과도한 근긴장이상증이 나타납니다.
이런 근육육의 과도한 수축은 얼굴 아래의 신체 부위에서도 관찰되는데 특히 목 주변 근육에서 심하게 나타나고 드물게 양쪽 어깨와 팔까지 침범하기도 합니다.
근긴장이상이 나타나는 신체부위가 얼굴이기 때문에 메이그증후군 환자들이 받는 신체,정신적스트레스는 매우 심하며 많은 환자들이 삶을 포기하고 싶다고 할 정도로 심각한 질환입니다.




메이그증후군의 증상

1. 눈 주위 근수축
눈 주위의 눈둘레근에 과도하게 반복적인 근긴장이상으로 수축 현상을 나타내는 것이 큰 특징입니다.
양쪽 눈에서 동시에 깜박임이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과도한 눈 주의 근육의 수축은 햇빛을 볼때 더 심해지며 일상생활이 불가능해집니다.
매우 심한경우에는 환자 본인이 손으로 눈꺼풀을 치켜 올려도 눈이 떠지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2. 입 주위 근수축
근육의 비정상적인 수축은 이마근과 얼굴의 중간과 아래에서도 나타납니다.
지속적으로 입을 실룩거리거나 오므렸다 벌렸다 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심한 경우엔 혀 근육과 인두근육의 과도한 수축으로 혀를 입 밖으로 낼름거리거나 음식물을 삼킬 수 없게 됩니다.
목 표면에 넓게 존재하는 넓은 목근의 수축으로 목에 힘줄이 서는 것과 같은 현상이 발생합니다.

3. 후두의 근수축
후두의 근육에 근긴장이상이 동반될 때는 목소리가 변성되어 경련성 구음장애를 보이는데,

메이그증후군 환자의 약 1/5에서 발생합니다.
후두 근긴장이상이 나타나는 환자들에게서 보이는 특이한 현상은,

근육 수축이 과도하게 일어나더라도 손의 일부를

눈 주의에 접촉하고 있으면 과도한 근수축이 사라지기도 합니다.

근육의 과도한 수축은 호흡기, 복부, 사지에서도 나타납니다.

약 17~35%의 환자는 안검경련이 매우 미약하게 지속됩니다.
병이 발생한 후에는 계속 진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35%의 환자는

기능적 실명에 해당하는 심각한 증상을 보입니다.
과도한 근수축으로 인한 장애가 발생해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을 할 수 없으며

심각한 우울증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메이그증후군 치료는 어떻게 할까요?

일반적으로 약물치료, 보톡스주사치료, 수술치료 등이 시행됩니다.
약물치료는 여러가지 약물의 병용 요법이 필요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보톡스 주사치료는 과도한 안검경련을 일으키는 곳이 시행됩니다.
수술치료는 아직 실험적 단계로 메이그증후군을 치료하는 명확한 방법은 없습니다.




메이그증후군을 일으키는 기저핵

메이그증후군의 경우 아직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뇌의 기저핵 기능이상이 메이그증후군을 일으키는 가장 큰 원인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기저핵은 대뇌 반구의 시상 바깥쪽에 있는 회백질 덩어리입니다.
기저핵은 미상핵, 렌즈핵, 전장, 편도체, 흑질, 선조체 등으로 이루어집니다.
척추동물의 전뇌의 하부와 중뇌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고

수의운동, 절차기억, 안구운동, 인지, 감정등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우리는 기저핵의 회백질에 주목해야 합니다.
통증과 관련하여 하행성 통증 조절계의 핵심으로 뇌의 특정부위가 자극되면

통증 유발 자극에 대한 반응이 감소하게 되는데 이를 자극유도 무통증이라고 합니다.
회백질, 봉선핵, 망상체 핵, 고속핵등 대부분이 뇌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만약 기저핵을 담고 있는 뇌간이 물리적, 화학적으로 계속 자극된다면 민감도가 상승하게 됩니다.
혈액순환 장애로 산소와 영양소가 결핍되고 노폐물이 배출되지 못해

신경세포환경이 나빠지게 되면, 작은 통증에도 버텨낼 수 없게 됩니다.

통증 조절센터인 뇌간의 물리적 긴장도

뇌간 기능 이상은 통증의 인지와 억제 과정에 문제를 일으킵니다.
현대인의 일자목과 거북목은 뇌간 기능이상과 밀접한 연관관계가 있습니다.
적절한 척추의 곡선에 의한 척추 안정성은 중력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척추의 하중을 적절하게 분배해 내부를 주행하고 있는 신경의 긴장도를 낮추고 안정적인 기능을 유지하게 합니다.
그러나 일자목과 거북목으로 인한 경추 모양의 변화는

경추 척수신경에 연접해있는 뇌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결국 우리는 틀어진 경추를 바로잡아 뇌간의 물리적인 긴장도를 낮춰

메이그중후군을 일으키는 과도한 근수축을 해결해야 합니다.

경추와 척추의 안정성확보를 통한 메이그증후군 치료

메이그중후군을 치료하는 일반적인 보톡스 주사치료는

과도한 안검경련을 일으키는 눈,얼굴,목 주위의 근육에 시행하게 됩니다.
보툴리눔독소는 근육을 일시적으로 마비시켜 근수축이 일어나지 않게하는 일시적인 대증치료에 불과합니다.
우리는 메이그증후군을 일으키는 뇌간, 기저핵에 초점을 맞추어

뇌간이 자극되어 나타나는 과도한 근수축이 메이그증후군을 일으키지 않게하기 위한 치료를 해야합니다.
경추와 척추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선 마음편한유외과의 자율신경도수치료와

자율신경프롤로치료가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틀어진 근골격계를 바로잡기 위한 자율신경도수치료와

목의 관절과 관절사이의 인대가 제기능을 하지 못해 일어나는

과도한 근수축(근스트레스)를 해결하기 위한 자율신경프롤로치료가 메이그증후군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