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편한유외과는 근본적인 원인을 찾기 위해 노력합니다

자율신경프롤로치료 13

티체증후군 원인을 알 수 없는 가슴통증

가슴부위의 통증을 호소하면서 흉골근처의 쇄골 근위부나 늑골 주위의 통증과 열감, 부종을 동반합니다. 비심장성가슴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티체증후군이라 부릅니다. 티체증후군은 늑관절증후군으로도 불리며 숨을 크게 쉬거나 식사 후에 가슴통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비심장성가슴통증이기 때문에 심전도, 흉부촬영, 내시경, 유방초음파 등의 검사를 받아도 별다른 원인을 찾을 수 없습니다. 40세 이전에 많이 발병되며 표피낭처럼 만져지는 혹과 관절에 붓기가 만져집니다. 기침과 재체기 등으로 인한 강한 통증이 어깨나 등쪽으로 연결되어 발생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흉곽은 가슴의 중심뼈인 흉공과 쇄골, 갈비뼈로 이루어져 가슴공간을 만듭니다. 관절은 뼈와 뼈가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그 사이에 연골과 인대가 있습니다. 숨을 쉬거나..

메이그증후군 신경전달의 문제로 일어난다.

메이그증후군은 주로 뇌신경의 지배를 받는 얼굴 주위의 근육에 비정상적인 근긴장이상이 발생하는 것 입니다. 1910년에 프랑스 신경과 의사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습니다. 여성에서 자주 발생하며, 50세 이후에 많이 발생합니다. 대부분 눈 주변 근육과, 얼굴 아래쪽, 입주위 근육에서 과도한 근긴장이상증이 나타납니다. 이런 근육육의 과도한 수축은 얼굴 아래의 신체 부위에서도 관찰되는데 특히 목 주변 근육에서 심하게 나타나고 드물게 양쪽 어깨와 팔까지 침범하기도 합니다. 근긴장이상이 나타나는 신체부위가 얼굴이기 때문에 메이그증후군 환자들이 받는 신체,정신적스트레스는 매우 심하며 많은 환자들이 삶을 포기하고 싶다고 할 정도로 심각한 질환입니다. 메이그증후군의 증상 1. 눈 주위 근수축 눈 주위의 눈둘레근에 과도하게..

자율신경실조, 자율신경을 치료하는 이유

말초의 자율신경계는 서로 대항 작용을 하는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로 구성됩니다. 이러한 자율신경계의 조절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를 자율신경실조라고 합니다. 실조는 신경계 퇴행성 질환을 말합니다. 특정기관의 기능이 퇴행에 의해 문제를 일으키면서 협력이 되지 않으면서 나타나는 행동증상을 이야기 합니다. 자율신경실조의 증상들 자율신경계는 전신의 피부를 포함한 모든 장기에 기능을 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율신경계 기능에 이상이 발생하면 다양한 증상이 발현됩니다. 고협압과 당뇨처럼 간단한 검사를 통해 객관적으로 증명되는 정상범위가 없기도 해 진단을 내리기 힘든 경우도 있습니다. 우리에게 흔하게 보이는 자율신경실조 증상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어지럼증, 실신, 기립성 저혈압 2. 귀는 정상이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