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근육통이란 무엇인가요?
섬유근육통은 fibromyalgia라고 불리며 섬유근통, 섬유근통증후군,
섬유조직염, 비관절성 류마티즘, 정신성 류마티즘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만성전신통증이 주된 증상이며 전신의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또 근육통증이 주된 증상이기 때문에 섬유근육통과 비슷한 질병명들이 많이 있습니다.
통증은 특정부뒤에 국한된 경우 국소통증, 특정부위인 경우 부위통증, 섬유근육통은 전신통증으로 구분합니다.
근막통증증후군은 부위통증에 해당하며 긴장띠( taut band ; 근육의 과도한 사용, 만성 스트레스성긴장,
잘못된 자세습관 등에 의해 근육이 팽팽하게 긴장되어 있는 상태 )가 만져지며
연관통( 내장질환의 경우에 신체의 일정한 피부 부위에 투사되어 느껴지는 통증 )과
국소연축반응( 근육의 경결된 띠를 찾고 자극을 주게되면 간헐적인 빈도로 근육이 크게 꿈틀거리는 형상 )이 나타납니다.
섬유근육통의 경우는 압통점이 있지만 긴장띠와 연관통과 관련이 없다는 점이 근막통증증후군과의 차이입니다.
과민성대장증후군, 턱관절증후군, 복합부위통증증후군 ( CRPS, complex reginal pain syndrome)과
전혀 별개로 보이지만 질병의 기원은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만성통증은 위치에 따라 만성국소통증과 만성전신통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특정 부위에만 통증을 느끼는 만성국소통증의 경우
미국과 영국 전체인구의 20~25%가 겪고 있으며 10%정도는 만성전신통증을 겪을 정도로 적지 않습니다.
미국 류마티스학회에서 1990년 발표한 섬유근육통진단 기준으로는
전신의 18군데 압통점을 제시하고 이 중 11군데 이상에서 압통이 나타나고
3개월 이상 지속되는 전신통증이 있을 경우 섬유근육통에 해당한다고 하였습니다.
섬유근육통은 어떤 증상들이 있나요?
섬유근육통은 전신통증뿐만이 아니라 증후군으로 불릴만한
전신의 기능적인 문제와 정서적인 문제가 모두 나타납니다.
통증 : 정신의 어느곳에서도 모두 통증이 발생하며, 위치와 통증의 강도가 계속 변합니다.
감각이상 : 신경학적 증상이 없는 특히 사지( 팔다리 )에서 감각이상이 나타납니다.
불안, 우울증, 예민, 긴장상태 : 대부분의 환자에게서 동반되어 통증을 악화시키고
정서적인 문제 자체가 통증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킵니다.
피로감 : 중증도 이상의 피로가 약 85%에서 나타납니다.
일상생활을 지속하지 못할 정도의 극심한 피로감 입니다.
두통
구강 및 눈 건조 : 쇼그렌 증후군으로 오인되기도 합니다.
*쇼그렌 증후군 : 입이 마르고 눈이 건조한 증상이 발생하는 만성 자가면역질환
구강궤양, 광과민성 : 루푸스( 면역계의 이상으로 온몸에 염증이 생기는 만성 자가면역질환 )로
잘못 진단 될 수도 있습니다.
강직, 뻣뻣함 : 류마티스 관절염의 증상과 비슷하여 불필요한 검사나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불면증, 수면장애 : 수면을 유지하는 모든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합니다. 약 70%의 환자에게서 나타나며 수면장애는 피로를 유발하고 수면을 잘 취하지 못하여 신체는 회복되지 못해 통증에 더욱 예민해지게 됩니다.
붓기, 부종 : 전신에서 나타나며 특히 상지, 하지, 손가락, 발가락 관절이 붓습니다.
과민성대장증후군 : 복통으로 일상생활을 하기가 괴로우며 동반된 전신증상으로 인해 삶의 질이 떨어집니다.
과민성방광 : 시간과 장소를 가리지 않고 소변을 참지 못하며 속옷에 지리게 되는 절박뇨가 특징입니다.
하지불안증후군 : 다리를 움직이고자 하는 충동이 들면서 동시에
하지에 불쾌한 느낌이 생기는 감각과 운동의 복합장애입니다.
인지장애, 기억력감퇴
추위불냉성 : 추위를 쉽게 타며 참지 못합니다.
섬유근육통은 어떻게 진단하나요?
앞서 말한 것처럼 매우 흔하게 볼 수 있는 질환임에도
평균적으로 진단되기까지 5년이 걸린다고 합니다.
즉 섬유근육통환자들은 오랜기간 진단명이 없는 채 지내고 있다는 것이 현실이며
섬유근육통진단 기준은 아직까지도 1990년 미국 류마티스학회에서 제시한 기준을 따르고 있습니다.
1. 3개월 이상 지속되는 전신통증
2. 18군데의 압통점 중 11군데 이상에서 압통잉 나타나며, 특히 척추부위의 통증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압통여부를 확인할 때 손가락을 이용하여 4kg/cm2의 힘을 가해 눌러서 확인합니다.
손가락으로 손톱을 눌렀을 때 손톱이 하얗게 변하는 정도의 강도이며,
압통점을 손가락으로 눌렀을 때 움찔하거나 환자 스스로 아프다고 호소하는 정도의
통증을 보여야 양성 소견의 압통으로 인정하며 보통 VAS
( visual analogue scale ; 통증의 심한 정도를 점수로 정량화한 것 )을 사용하여 기록합니다.
그러나 1990년의 진단 기준은 기간과 통증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최근 2016년에 새로운 섬유근육통 진단 기준이 적용되었는데,
통증과 함께 나타나는 여러 신체적인 동반 임상증상들을 진단기준에 포함시켰습니다.
1. 정신통증지수 ( widespread pain index, WPI )
2. 증상중증도척도 ( symptom severity scale )
새로운 진단법에서 섬유근육통의 진단 기준은
WPI가 7점 이상이면서 증상중증도가 5점 이상이거나
WPI가 3~6점인 경우에는 증상중증도가 9점 이상이여야 합니다.
새로 개정된 기준에서 다루는 섬유근육통은 3가지의 증상을 중점적으로 봅니다.
1. Fatigue ( 피로 )
2. Waking unrefreshes ( 잠에서 깨어났을 때 개운하지 않다 )
3. Cognitive symptoms ( 인지기능관련 증상, 기억력, 집중력 상태 )
'자율신경기능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섬유근육통 ] 압통점을 만들어내는 신경회로 (0) | 2021.06.07 |
---|---|
[ 섬유근육통 ] 중추신경계문제가 원인! (0) | 2021.06.07 |
기승전장, 장과 자율신경의 부조화가 일으키는 암 (0) | 2021.05.31 |
역류성식도염 원인이 뭘까? (0) | 2021.05.28 |
류마티스관절염 (0) | 2021.05.26 |